우리가 추석명절과 중부지방에 쏟아진 ‘물폭탄’ 피해·복구에 관심이 온통 쏠려있을 때인 지난 24일, BBC·뉴욕타임즈·파이낸셜타임스(FT) 등 여러 외신은 이란의 핵시설 파괴를 노린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 웜의 확산 소식을 전하느라 분주했습니다. 문제의 이 웜은 마이크로소프트 취약점을 악용한 ‘스턱스넷(Stuxnet)’으로, 주로 USB 이동식저장장치를 통해 감염시키는 악성코드입니다. 지멘스의 산업시설 제어장치를 감염시킨 후 산업시설에 침투해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웜은 지난 6~7월 처음 발견됐지만 1년 전부터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시만텍 등 보안업계는 이 웜이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제작된 최초의, 아주 정교한 악성코드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데요. 이미 이란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인도 등에서도 감염 사고가 보고된 상황입니다. 그중에서도 이란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본 것으로 분석되고 있지요.  뉴욕타임스는 26일(현지시간), 이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 웜이 이란 내 컴퓨터 3만대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이란에 대한 사이버(전자적) 전쟁의 일부”라고 보도했습니다. (<-링크)일부에서는 스턱스넷에 감염된 4만5000여 대의 컴퓨터 중 60%가 이란에 집중돼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이란의 나탄즈(Natanz) 우라늄 농축 시설과 부셰르 원자력발전소 파괴를 노리고 특정국가가 제작했거나 배후에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는 겁니다. 당연히 핵 개발과 실험에 반대하는 미국과 이스라엘, 영국, 그리고 프랑스, 독일, 심지어 중국까지도 용의(?)선상에 올라와 주로 언급되고 있는 국가입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 스턱스넷 웜의 등장과 감염 확산이 “웜이 ‘무기’화된 첫 사례이자, 사이버전쟁이 ‘파괴공격’ 단계로 진입한 것을 알리는 신호탄”이라고 하는 해외 보안전문가들의 경고일 것입니다.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 구축사업이 한창인 지금, 또 자동차·조선 등 각 산업에서 IT와의 융합이 가속화되는 이때 ‘스턱스넷’ 웜으로 인한 이란의 피해를 교훈삼고 대책을 마련하고 미리 점검해봐야 할 것입니다. 이번 사례는 몇 년 전, 사이버공격의 위험성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던 브루스윌리스 주연의 영화인 ‘다이하드4.0’을 다시 생각나게 하네요.(관련기사-다이하드4.0의 ‘파이어세일’ 공포) 전문가 경고처럼 각종 사회 기간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파괴하는 것을 보여준 이 영화의 시나리오가 이미 현실화된 시기가 된 것일까요?  그나저나 우리나라 산업시설에는 혹시라도 이 ‘스턱스넷’ 웜의 악영향이 없는지 궁금하네요. (덧붙임) 그러고보니 얼마전에 안철수연구소가 산업용 시스템 전용 보안 솔루션을 선보였군요. 예전에 하우리도 산업용PC 전용 백신을 발표한 적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관련기사 참고 - 안철수연구소, 첨단생산라인·POS 전용 보안 제품 출시)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