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 전자상가 中 화창베이에서 본 삼성전자의 암울한 미래
디바이스세상
14.12.15 13:00

거리에서 보이는 간판은 대부분 삼성전자와 애플이지만 많이 팔리는 제품은 삼성전자와 애플이 만든 것이 아니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제품도 각양각색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도 있다. 굳이 삼성전자와 애플이 만들지 않아도 삼성전자와 애플 제품을 살 수 있고 이도 아니면 개성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제품이 넘쳐난다.
![]() | ![]() |
![]() | ![]() |
![]() | ![]() |
그러나 중국 역시 스마트폰 중심 시장으로 전환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색다른 폰이 지원하는 통신방식은 대부분 2G다. 무게 중심은 차세대 통신방식과 스마트폰으로 옮겨가고 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단속이라는 변수는 일어날 가능성이 낮지만 일어나더라도 사후약방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지난한 소송을 돌이켜보면 삼성전자는 특허배상금을 전제하고 그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전략으로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샤오미도 하나의 사례다. 샤오미는 이런 저런 지적재산권 문제를 갖고 있지만 세계 3위를 노릴 정도로 성장했다. 시간은 중국 업체의 편이다.
애플은 다르다. 애플이 출시하지도 않은 애플워치가 팔리고 아이폰 짝퉁이 돌아다녀도 애플의 타격은 크지 않다. 애플은 기존 시장을 뺏긴 것이 아니라 새로 가질 수 있는 시장을 나눠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애플의 모조품을 구입한 사람은 애플의 외향을 가질 수는 있어도 애플의 경험은 가질 수 없다.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의 성공에서 볼 수 있듯 애플 사용자는 경험을 구매하고 경험에 충성한다. 애플과 애플의 모조품 제조사는 일종의 동반성장이다.

화창베이에서 본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미래는 HP의 PC다. 결국 귀결은 플랫폼이다.
TAG
HP,
OS,
PC,
동반성장,
디바이스,
디지털데일리,
딜라이트닷넷,
미래,
삼성전자,
선전,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애플,
제로섬,
제조사,
중국,
진짜,
짝퉁,
플랫폼,
화창베이
다음글 : 스마트시계, ‘보이지 않는 적’과의 대결…삼성·LG, 애플 쓰나미 넘을 수 있을까 (15.02.24 09:45)
이전글 : 애플워치, 웨어러블 결제의 신호탄? (14.09.16 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