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ICT(정보통신기술)라는 단어가 이제 우리 생활에 흔하게 쓰이고 있다. 융합 시대와 스마트폰 열풍에 힘입어 ICT는 우리 생활에 그만큼 친숙해 졌다. 하지만 과연 ICT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따지고 들자면 다소 모호한 것도 사실이다.

지난 27일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주최한 제9회 국가정보화전략포럼 ‘ICT 기술변화로 바라본 미래 전망’ 세미나에선 ICT로 변화되는 우리의 생활상을 전망하는 의미 있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 및 ETRI,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KT,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 국내 내로라하는 IT관련 기관과 기업이 공동으로 ‘ICT 기술변화에 따른 중·장기 사회전망 연구’ 결과를 공개한 것.

이 날 발표를 맡은 한국정보화진흥원 김현곤 단장은 “ICT에 다한 접근법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며 “ICT를 통해 더 큰 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분석으로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파악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고령화 ▲고위험사회 ▲인간중심 ▲기술발전 이라는 4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패러다임 변화를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가 고령화와 고위험사회로 바뀌면서 고비용 및 예산증가가 불가피한 반면 인간중심과 기술발전을 통해 개인의 지식과 역량을 더해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것.

특히 기술발전은 이러한 ▲고령화 ▲고위험사회 ▲인간중심으로 변화하는 우리 사회를 좀 더 발전적으로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최근 ICT기술이 ‘디지털 시대’로 대변됐다면 앞으로 미래는 ‘스마트 시대’로 규정될 것으로도 전망됐다.

기술중심의 시대로 더 빠른 속도와 많은 용량, 다수의 집적도가 기존 기술의 지향점이었다면 이제는 사용자의 다양성과 이용 편리성에 맞춘 기술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공급자/대중 중심의 기술 특징은 사용자/사람 중심으로 변화하고 한 방향으로 빠르게 진화하던 기술전파의 특성도 곳곳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형태가 불명확한 반면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속도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ICT 기술 성격과 지향점의 변화에 따라 사회 변화도 좀 더 다양하게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김현곤 단장은 “정부의 경우 플랫폼, 지능형, 과학, 협력을 강조한 정부 형태로 진화할 것”이라며 “정부의 역할, 일하는 방식, 거버넌스와 서비스가 ICT를 만나 변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 및 경제의 경우 ▲IT융합 신사업 창출 ▲신 경제주도 세력등장 ▲지식기반 사회로 전환 ▲기업경영 활동의 변화 ▲글로벌화와 신흥국 등장 ▲네트워크 경제 가속화 등이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됐다.

또 개인 및 사회의 경우 개인의 파워 강화와 온라인 집단 지성 확대 등으로 가상과 현실세계의 복합화와 신체적, 시공간의 한계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미래 한국사회의 발전전략을 위한 ICT 접목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을까?

우선 보고서에선 국민행복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서비스를 제시했다. 국민생활공감서비스, 국민건강관리, 예방적 재난안전 서비스, 예측기반 미래전략 수립 등 데이터 분석 기반을 통해 국가 현안 및 경제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동반성장을 위해선 IT기반 선순환 생태계 구현이 제시됐다. IT생태계가 사회전반의 생태계 성장을 이끌며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밖에 창의강국을 위해 스마트 시대의 인재 조건과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국가적 전략 마련과 지속 발전을 위해 IT마인드(개방 및 공유, 협력)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현곤 단장은 “사람과 기술, 데이터가 만나 사회 혁신과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이 ICT를 통해 만나 사회변화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쓰기

키워드

#IT서비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