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페섹 블룸버그 기자는 23일(현지시각) ‘삼성 공화국에서 살아가기(Living in the Republic of Samsung)’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삼성 오너를 비꼬고 대기업(재벌)을 개혁하지 않는 한국 정부를 비판했다. 전자신문CBS노컷뉴스가 페섹의 글을 받아 보도했다.

페섹은 2009년 제너럴모터스(GM)가 파산보호 신청을 하자 미국 경제에 커다란 부담이 됐다며 삼성이 파산할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25%가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재벌을 개혁하지 않으면 창조경제는 실패하고 중소기업도 경쟁력을 갖추지 못할 것이라고 적었다.


이 외국인의 주장은 터무니 없는 것이다. ‘삼성=한국 GDP 25% 차지’라고 쓴 걸 보면 삼성 그룹 매출(2013년 약 415조원)을 한국의 2013년 명목 GDP(약 1300조원)에 대입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서 창출된 부가가치의 총합인 GDP와 총 판매액인 매출액을 직접 비교한 것 부터가 오류다. 더욱이 삼성전자는 전체 매출액의 80~90%가 해외에서 발생한다. 굳이 GDP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고자 한다면 영업이익이 가장 합당한데(이조차도 정확치 않지만), 그럴 경우 이 비중은 3.3%로 줄어든다. 이런 터무니 없는 근거를 자신의 주장에 녹인 이유는 경제 통계를 잘 몰랐거나, 삼성 집중 현상을 과장하려는 의도일 것이다.


그는 정부 지원에도 불구 한국 중소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를 재벌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이 중소에서 중견으로 중견에서 대기업으로 넘어가기를 꺼리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역시 몰랐거나, 한국 경제의 문제점을 과장하려는 의도다. 억지 통계에 기반한 근거 없는 주장이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