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발생한 7.7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원래는 미국 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했다가 성공을 거두지 못해 한국으로 공격대상을 바꾼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미 공격을 겪은 이후인 지금 시점에선 크게 의미는 없지만, 색다른 분석이어서 포스팅해봅니다. 헤럴드 프로콥 아카마이 수석 엔지니어 부사장은 7일 국내 출시한 아카마이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관심있는 분은 여기로)를 소개하기 위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작년에 미국에서 발생한 7.4 DDoS 공격 분석결과와 대응과정을 소개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프로콥 부사장은 “미국 정부사이트를 대상으로 공격을 벌였지만 아카마이가 철저히 방어해 결국 포기하고, 한국으로 대상을 옮겨 공격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스스로 자사의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를 기반으로 한 보안 서비스가 DDoS 공격 대응에 탁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다보니 과한 분석을 내놓지 않았나 싶은데요.   이미 다들 알고 있다시피, 작년 7월 7일 오후 6시 40분쯤에 우리나라 주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공격이 일어나기 이전에 미국의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에 미국 정부기관 등의 사이트를 대상으로 공격이 시작된 것은 맞습니다. 아카마이 분석에 따르면, 7월 4일 오후 2시에 아카마이의 네트워크 운영센터에서 경보가 발생했고, 오후 4시에 공격자 근원지를 발견했습니다. 그 이후 급속도로 트래픽이 증가해 평상시의 598배인 124Gbps에 달했다고 하는데요. 아카마이는 앞서 두시간 진행된 공격은 테스트였다고 보고 있습니다.  공격 트래픽은 4시간 만에 100Gbps 이상 올라갈 정도로 빠르고 규모도 컸으며, 3일 동안 방식을 바꿔가면서 공격이 이뤄졌다고 합니다. 이 정도의 공격규모라면 정상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선 2500대의 백업 서버가 필요한 수준이라네요. 제대로 공격이 통하지 않자 7월 5일에는 공격 방식을 바꾸면서 트래픽이 낮아졌다고 합니다. 공격 IP의 90% 이상이 한국의 IP로 들어온 것으로 분석됐답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사용자 PC가 봇에 감염돼 공격에 악용된 좀비PC였기 때문입니다. 아카마이가 공격진원지도 분석하고 있는지를 물어봤는데요. 프로콥 부사장은 “공격근원지(IP)는 한국이지만, 그 배후에 누가 있는지는 모른다”며, “실제 공격근원이 한국에 있을 가능성은 낮은데, 한국은 고대역폭의 광대역망이 잘 갖춰져 있어 한국에 있는 PC를 이용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7.7 DDoS 공격이 발생한 원인과 관련해 아카마이의 분석이 맞는지 아닌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죠. 한국 사이트 대상 공격 이전에 백악관 등 미국의 주요기관 사이트를 대상으로 먼저 공격이 있었다는 점에서는 개연성이 아예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우리 정부는 우리나라 주요사이트 22개를 대상으로 7월 7일부터 3일 간 공격이 발생하던 같은 기간에 14개 미국 사이트를 대상으로 공격이 계속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는데요. 이 분석과는 배치됩니다.  아카마이의 분석을 토대로 짧게 생각해보면, 만일 공격자가 미국을 대상으로 한 공격에서 큰 효과를 봤다면 우리나라의 7.7 DDoS 공격은 없었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사실 이런 가정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 혹시 그랬다 하더라도 이후 언제라도 DDoS 공격은 발생할 수 있을테니 말입니다.  작년 7.7 DDoS 공격을 누가했는지, 왜 했는지 아직도 오리무중입니다.  국가정보원에서는 공격진원지를 북한을 지목했는데요, 이 때문에 논란도 많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심증을 갖고 있을 지는 모르겠는데요, 우리정부나 미국정부도 아직까진 공격배후에 관해선 ‘공식적으로’ 밝힌 바는 없습니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