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소비자가전전시회(CES)2018’이 막을 내렸다. 이 행사는 매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올해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각) 진행했다. CES2018은 ‘스마트시티’가 ‘기술’ 측면에선 생각보다 빨리 도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했다. 업계 기준에선 한국이 흐름을 주도했다는 평가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이 한국 대표다. 삼성전자 LG전자는 이 평가에 합당했지만 현대차 기아차는 실망스러웠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전시관은 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 위치했다. 양사 전시관은 CES 참관객이 빠지지 않고 들리는 곳이다. 인산인해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니다.

삼성전자는 수년전부터 종합 전시회 전시관에 매번 상당한 변형을 주고 있다. CES와 함께 세계 3대 전시회로 꼽히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국제가전박람회(IFA) 마찬가지다. 대부분 전시회는 매년 그 위치에 그 회사 전시관이 있다. 내용은 바뀌지만 큰 틀은 유지한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그렇지 않다. ‘전시’ 그 자체에도 매번 새로움을 추구한다. 이 모험은 성공할 때도 실패할 때도 있다. CES2018은 성공과 실패 그 중간 어디쯤이다.

생활가전은 제품 그 자체를 전시하는 공간은 없앴다. 중앙에 대신 유리로 밀폐형 공간을 꾸며 TV와 에어컨 , 세탁기, 로봇 청소기 등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시나리오로 꾸몄다. 그 안에서 제품을 체험하는 형태가 주를 이뤘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인공지능(AI) 비서 ‘빅스비’를 전면에 내세웠다. 전체 제품을 빅스비와 사물인터넷(IoT)으로 엮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2020년까지 모든 기기로 확대 예정이다.

이를 관람객에 전달하려다보니 폐쇄형 부스를 여럿 배치할 수밖에 없다. 음성명령은 소란스러우면 오동작하기 쉽다. 삼성전자 전시관은 앞서 언급했듯 사람이 넘친다. 한 번에 체험할 수 있는 인원도 제한된다. 이러다보니 관람객이 창밖으로 안에만 보고 지나치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체험하는 사람을 구경하고 마는 모양새였다. 
제품 중심 전시는 외곽에 배치했다. ▲빌트인 가전 쿠킹쇼 ▲마이크로발광다이오드(LED)TV ‘더 월’ ▲디지털 플립차트 ‘삼성 플립’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이 자리했다. 중앙은 거의 통로로만 활용됐지만 이곳엔 관객이 밀집했다. 특히 더 월이 그랬다.
더 월은 삼성전자가 내놓은 첫 마이크로LED TV다. 마이크로LED는 백라이트가 필요없는 자발광TV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올레드)TV와 비슷한 원리. CES2018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이를 올해 주문생산으로 시장에 내놓을 방침이다. 사람이 너무 많아 제품 사진을 제대로 찍을 수 없을 정도였다. 물론 삼성전자가 제품을 실제로 만져볼 수 없도록 차단선을 쳐놓은 것과 연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좁은 공간에 배치한 이유도 있다.
디지털 콕핏은 실제 5세대(5G) 이동통신 기지국을 옆에 둬 무선으로 자율주행 전 단계까지 구현했다. 무선통신 솔루션을 모두 보유한 삼성전자라서 가능한 전시 포맷이다. 더 월과 디지털 콕핏 사이에 삼성전자 IoT 전략을 소개하는 강의 공간을 둬 밀집된 관람객 활용을 극대화했다.
패밀리허브는 냉장고 본연의 기능보다는 패밀리허브가 가정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방식을 보여주는데 치중했다. 스마트폰으로 가족이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 플립은 회의 참석자가 의견을 기록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커다란 종이, 즉 플립 차트를 대신하는 기기. ‘갤럭시노트’ 때처럼 삼성 플립으로 그린 그림을 뽑아줘 인기를 끌었다. 당연히 일반인이 작성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
LG전자는 안정 속 변화를 추구했다. LG전자 역시 이번 전시회에서 AI를 강조했다. AI 체험을 위한 폐쇄형 부스도 마련했다. 하지만 이는 특정 구역에 배치하고 나머지 공간은 예전처럼 나열식 형태로 구성했다. 폐쇄형 전시관은 유리 속을 쳐다보고 흘려버리지 않도록 LG전자의 상징이 된 올레드 파사드 옆에 뒀다.

올레드 파사드는 아직 영상과 사진이 실제를 제대로 표현치 못한다는 점을 절실히 느끼게 한다. 영상과 사진을 동원해도 실제 그 공간을 제대로 표현할 길이 없다.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소개할 때와 비슷하다. 그가 무엇을 느끼고 있던 옆 사람은 머리에 이상한 기기를 뒤집어 쓴 채 웃기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느낄 뿐이다.

LG전자는 IFA2016에서 올레드 파사드를 첫 도입했다. 올레드 터널을 만들어 올레드의 화질과 디자인 특성을 드러냈다. 올레드는 백라이트가 없기 때문에 형태를 가공하기 쉽다. 이번엔 올레드 협곡이다. 길이 16미터 너비 16미터 높이 6미터다. 구불구불한 협곡 느낌을 살리기 위해 볼록한 모양으로 156장을 오목한 형태로 90장을 휘었다. 동영상과 사진을 찍는 사람으로 발디딜 틈이 없었다. 협곡에 들어가기 위해 AI 체험관을 살펴보며 기다렸다.
협곡을 빠져나오면 올레드TV와 나노셀TV가 기다린다. LG전자의 로봇도 관객을 맞았다. 다만 로봇을 혼다처럼 동작하는 공간을 마련해 운용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 전체 공간의 구성상 어쩔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혼다는 로봇에 올인할 수 있었지만 LG전자는 다른 제품도 많기 때문이다. 
올레드 협곡 다른 쪽 출입구는 초고가 가전 ‘LG시그니처’를 뒀다. 갤러리처럼 꾸며 고가 가전 특유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흑백사진과 가전의 조합. LG전자는 IFA2016에서도 갤러리 형태를 차용해 LG시그니처를 띄운 바 있다.
LG전자 전시관에선 스마트폰 ‘V30’과 초고화질(UHD, 4K) 프로젝터, 메리디안과 협업한 포터블 스피커 등이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떨어진 것이 아쉽다. V30은 LG전자 스마트폰 상황 탓에 프로젝터와 스피커는 위치가 좋지 않았다.
현대차와 기아차 전시관은 기대이하다. 자동차를 가운데 두고 주변에 대형 스크린과 체험존을 배치했다. 다른 완성차 업체에 비해 볼거리가 많지 않았다. 이는 관람객 숫자에서도 드러난다. 이동하기 어려울 정도로 붐비는 다른 회사에 비해 마음만 먹는다면 한껏 체험과 문의를 할 수 있다.
현대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넥쏘’, 기아차는 ‘니로 전기차(EV) 선행 콘셉트’를 중앙에 뒀다. 자동차는 자동차업계 전시관이 아니어도 많다. 경주용 슈퍼카부터 태양광 패널로 온몸을 뒤덮은 차까지 평소엔 볼 수 없는 차도 널렸다. 자동차 전문 전시회에선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모르지만 이 방식으론 ICT 전시회에서 사람의 발길을 잡기 쉽지 않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