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KT가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사업 본격화를 선언했다. 소물인터넷은 사물인터넷(IoT)에서 더 적은 전력으로 더 적은 데이터 전송 목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한 기기와 서비스를 일컫는다. IoT 개념 등장 이전 M2M과 유사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29일 KT는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롱텀에볼루션(LTE)기반 IoT전용망 LTE-M 전국망 상용화를 발표했다. LTE-M 중 M은 머신 타입 커뮤니케이션(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의미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의 소물인터넷 전략의 핵심은 소물인터넷 기기 최단기간 '10만개' 확보다. 애플의 성공 이후 유행이 된 생태계 선점을 통한 잠금(lock-in, 락인)효과 극대화 전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의 플랫폼과 네트워크는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있다는 점도 내세웠다. KT 생태계에 참여할 경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진출이 용이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물인터넷 사업 성과를 앞당기기 위해 KT는 ▲전국망 상용화 ▲디바이스 지원 ▲전용 요금제 ▲사업화 지원 ▲특화서비스 발굴 등 5대 가속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TE-M 네트워크는 LTE 기반이기 때문에 현재 KT가 이용하는 LTE 주파수를 그대로 쓴다. 원론적으로는 글로벌 로밍은 물론 같은 LTE-M으로 소물인터넷을 추진하는 LG유플러스와 호환도 가능하다. 로라(LoRA)는 SK텔레콤이 소물인터넷용으로 구축하고 있는 네트워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TE-M 기기는 상대적으로 다른 통신방식에 비해 모듈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다. 전력 문제도 아직 확실히 해소되지 않았다. 약점을 만회하기 위해 KT는 개발사에 모듈을 뿌리는 방법을 택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금을 받지 않으면 통신사가 아니다. 연말까지 무료다. 요금체계가 확정되지 않은 점은 함정이다. 생태계에 편입되고 나면 요금에 불만이 있어도 빠져나가기 어렵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발사에 대한 투자도 약속했다. 다만 KT가 이 전략을 얼마나 지속할지는 미지수다. 창조경제 패러다임은 현 정부가 짠 것이다. 다음 정부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 KT 황창규 대표의 임기는 올해까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가 소물인터넷 첫 공략지점으로 삼은 서비스는 도난방지와 검침 등의 분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 응용이 가능하다. 센서와 모니터링 등이 필요한 영역은 소물인터넷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TE-M 네트워크는 추후 협대역(NB: Narrow Band)-IoT로 진화를 논의 중이다. KT는 NB-IoT 네트워크 구축에 15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NB-IoT는 2017년 상용화가 목표인 기술이다. 아직 표준이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B-IoT도 5세대(5G) 이동통신처럼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하겠다는 통신사가 줄을 섰다. KT도 그 중 하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의 10만양병책이 KT를 소물인터넷 1등으로 만들어줄지는 아직 물음표다. KT의 IoT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경쟁사에 비해 늦었다.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KT의 당근책이 성과를 낼지에 대한 판단은 내년 초까지 지켜봐야한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대부분의 제조사가 특정 통신사에 올인하기 보다 3사와 모두 협력하는 쪽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