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한국 진출 이후 국내 콘텐츠에 7700억원을 집행한 넷플릭스가 올해에만 5500억원을 투자하는 결단을 내렸다. 아시아 콘텐츠 예산 중 절반에 달하는 규모다. 그만큼 전세계에서 한국 콘텐츠의 저력을 확인했다는 방증이다. 이미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로 쏠쏠한 재미를 봤다.

특히, 아시아지역 공략에 한국 콘텐츠는 주효했다. 넷플릭스 아시아지역 상위 프로그램 상당수가 한국 콘텐츠다. 이는 전세계로 확대됐다. ‘킹덤’을 비롯해 ‘승리호’ 등은 전세계 넷플릭스 유료 가입자 눈길을 잡아, 인기 상위에 안착했다. 이에 넷플릭스는 거대한 자본력으로 킹덤 외전 ‘킹덤:아신전’을 비롯해 수십여개 한국 콘텐츠 신작을 쏟아낼 준비까지 마쳤다.

넷플릭스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국 콘텐츠 성장 가능성을 증명한 가운데, 디즈니플러스까지 발을 딛는다. 올해 한국 진출을 공식화한 디즈니플러스는 넷플릭스 아성을 위협하는 경쟁자다. 애플TV플러스, HBO맥스, 아이치이 등도 한국 진출을 예고하고 있으며, 국내 콘텐츠 제작사에 뜨거운 관심을 보내고 있다.

거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들이 한국으로 진격하면서 콘텐츠 제작자들은 환호하고 있다. 글로벌 OTT플랫폼이 들어서면서, 열악한 제작환경에도 변화를 맞은 것은 사실이다. 기존 방송?영화산업에서보다 자유롭게 창작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산업계가 우려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글로벌 OTT 플랫폼이 한국시장을 장악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지배력과 종속 문제다.

제작자들은 넷플릭스를 선택하며 안전하게 제작비를 회수하고 최소한의 이윤을 남길 것인지, 발생 가능한 추가 이윤을 포기할 것인지를 놓고 셈을 하게 된다. 지금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어려움에 처한 극장가, 지상파, CJ 계열 방송사 등에서 영화?드라마 제작을 축소하는 상황이다. 이에 넷플릭스 손을 잡는 사례도 더 많아지고 있다. 해외 OTT의 국내시장 지배력이 더 커진다는 의미다. 제작자는 개선된 환경에서 일하면서 한국 작품 우수함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넷플릭스 등 OTT 플랫폼 사업자는 기업이다. 기업은 이윤을 추구한다. 대규모 제작비를 지원한 넷플릭스는 해당 작품의 판권과 지적재산권(IP)을 소유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240억원 제작비가 투입된 영화 승리호 판권을 320억원에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승리호는 넷플릭스 전세계 2200만 가구가 시청할 정도로 흥행성을 입증했다. 극장 개봉작과 달리, 추가 수익을 얻지 못한다.

2019년 선보인 기생충은 2020년 5월 전세계 매출액 3000억원을 돌파했다. 극장 개봉작인 만큼 추가 수익에 대한 배분은 이뤄진다. 제2의 기생충이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OTT플랫폼에 속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재주는 한국이 부리고 돈은 넷플릭스가 벌어가는 현실을 무시할 수는 없다.

한국 콘텐츠가 전세계에서 통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글로벌 OTT플랫폼의 해외자본이 대거 투입되면서 종속화될 경우 한국은 미래 경제적가치 대신 생산기지로 전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한국시장을 콘텐츠 수급을 위한 하청기지로 삼겠다는 것”이라며 “넷플릭스를 통해 전세계가 한국 콘텐츠 기대감을 키울 수는 있겠지만, 해외자본이 들어가고 수익을 해외에서 가져가는 상황에서 이를 온전히 한국 콘텐츠로 부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한국이 만든 고부가가치 산업에도 이를 가질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한국이 가야할 길은 분명하다. 넷플릭스와 같은 해외 OTT 플랫폼을 활용해 한국 콘텐츠 우수성을 알리면서도, 국내에서 스스로 제작환경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 또한, 해외OTT 플랫폼만이 답이 되지 않도록, 국내 OTT플랫폼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려야 한다. 해외OTT에 맞설 수 있을 정도의 탄탄한 OTT사업자가 국내에 존재한다면, 선택지가 늘어나는 만큼 경쟁이 활성화되는 것은 물론이며 한국 제작자를 대우하는 수준 또한 높아질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