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즈가 내년부터 인터넷판을 유료화 한다고 합니다. 뉴욕타임즈는 구독 및 광고매출 감소로 지난 몇 년 동안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유료화 방식은 아직 명확하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파이낸셜타임스의 유료화 방식과 비슷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월 10개의 무료 기사를 제공하고, 그 이상의 기사를 볼 때는 주당 3.59 달러의  비용을 받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즈는 이미 4년전에도 유료화를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큰 효과를 얻지 못하고, 다시 무료화로 바꿨었죠. 미국 언론들은 이처럼 지속적으로 유료화 모델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광고와 구독료만으로는 생존 자체가 어렵다는 판단인 듯 보입니다. 과연 뉴욕타임즈의 2차 도전은 성공할까요?  만약 뉴욕타임즈의 유료화 모델이 성공한다면, 다른 언론들도 그 모델을 따라 할 것입니다. 어쩌면 유료화가 온라인 언론 수익모델의 기본이 될 수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국내 언론사들은 어떨까요? 국내 언론사들도 상당수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내 언론들이 인터넷에서의 유료화를 고민하고 있다는 얘기는 못 들어본 것 같습니다. 국내 언론들은 왜 유료화 모델을 고민하고 있지 않을까요? 사실 국내 언론들은 유료화 모델을 상상조차 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뉴스 콘텐츠가 기본적으로 언론사가 아닌 포털에서 소비되기 때문입니다. 언론의 힘은 ‘정보 접근성과 유통력’에서 비롯됩니다.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정보를 많은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언론의 힘이죠. 그런데 현재 국내 언론들은 인터넷 상에서 유통의 힘을 포털 사이트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스스로는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힘이 별로 없는 것이죠. 이 같은 현실은 제가 몸 담고 있는 디지털데일리를 비롯해 중앙일간지, 방송국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포털에 공급되지 않는 뉴스는 독자를 만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등장 이후 독자들이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뉴스를 읽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이 역시 포털의 힘에 기댄 것일 뿐 언론사 스스로의 힘은 아닙니다. 이 같은 현실에서 국내 언론사가 인터넷 뉴스를 유료화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온라인 뉴스를 유료화한다는 것은 포털의 힘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것인데, 포털에 실리지 않은 기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습니다. 결국 유료화해도 볼 사람이 없는 것이죠. 결국 뉴욕타임즈의 실험이 성공한다 해도 우리는 따라할 수 없는 신세입니다. 포털에 갇힌 한국 언론의 모습입니다.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