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프랜들리'란 말을 뚜렷하게 기억하실겁니다. 아마도 이는 MB정권 출범의 상징성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한 워딩으로 역사에 남을 만 합니다. '기업 친화적 정책'으로 해석하면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 '비즈니스 프랜들리'정책은 시간이 지나면서 실체를 의심받게 됩니다. "MB 정부가 너무 대기업에게만 프랜들리한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합니다. 그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들중 하나가 아마도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창궐입니다. 막강한 자본을 앞세운 대기업이 골목의 중소, 영세상권을 초토화시키는 현상이 전국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갈등이 폭발하고, 이러한 상황이 지금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경제학원론 교양 강좌에서 배운 '자유 시장경쟁의 원리'를 기초로 이런 상황을 지지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대기업 비판' 발언이 연일 재계에 충격파를 주고 있는 듯 합니다. 처음에는 6.2 지방선거 패배와 세종시 수정안 국회 부결 이후'친서민정책'행보를 시작한 대통령의 의례적 발언으로 인식이 되다가 지금은 '실체가 뭐냐?, 포플리즘 아니냐?'며 경계하는 언론의 모습도 보입니다. 물론 대기업이 우리 경제에 있어 건전한 생태계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역할론, 또 대기업이 경기부양의 과실과 알속만 챙기고 일자리 창출과 같은 사회적 책임은 등한시한다는 '책임론' 등 대기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이전에도 다양하게 존재했습니다. 그렇다면 IT쪽은 반응은 어떨까요? IT쪽도 규모면에서는 대기업-중소기업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대형 통신사업자나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대기업은 이 범주에서 제외됩니다.) 그러나 최근 MB의 질타는 아직까지는 '남의 일'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듯합니다. 이는 회사의 규모를 떠나 IT업종 자체가 아직 우리 산업구조에서 '주변부'라는 인식이 강한탓으로 해석됩니다. 비단 이번 사안뿐만 아니라 어떠한 정치적 현안에 있어서도 IT업계의 분위기는 일단 일정정도의 거리감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삼성SDS, LG CNS, SK C&C, 포스코ICT 등 연매출액 1조원을 상회하는 대형 IT서비스업체로 꼽히는 회사들도  이같은 민감한 정치 경제적인 이슈들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둔감하다'는 표현이 더 정확합니다. 단 이런 상황을 감안하고, 최근 '대기업 때리기'에 대한 대형 IT서비스업체 관계들의 반응을 들어보았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개인적인 사견임을 전제로 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대기업 책임론'에 대해서는 좀 억울한듯 다양한 논리로 반박을 했습니다. A사의 관계자는 "대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같은 사회적 책임을 도외시한다는 일부의 시각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특히 IT서비스업계의 경우, 이미 인력 중심구조로 이뤄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인력 채용을 늘리거나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설명이죠. 사실 '인건비 장사'를 한다고 스스로 표현하는 IT서비스업계의 현실에 비춰봤을때 공감이 가는 부분입니다.이 관계자는 "IT를 포함해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양극화 문제가 어느 일방의 책임으로 인식하는 것은 안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B사의 관계자는 기업의 R&D활동 등 내부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그는 "IT업계의 경우 R&D 처럼 인력 보다는 시설투자가 필요한 데, 오히려 '일자리 창출'을 너무 강조하다보면 이런 부분들이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여론때문에 대기업들이 '사상 최고의 실적 달성'이란 보도자료도 뿌리는데 주저하게 될 것이라는 지적도 했습니다. C사의 관계자는 "남의 눈때문에 '성과급 잔치'라는 표현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생길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한편 IT업계에서도 기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형식적인 상생, 협력관계가 복원될 수 있을지에 막연한 기대를 나타내는 시각도 없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역시 대체적으로는 이번 일도 '1회성'에 그칠 확률이 높다고 보는 분위기 입니다.  그동안 IT시장에서 대기업의 왜곡을 수정하기위한 다양한 정책이 제시됐고, SI(시스템통합)분야에서는  이미 중소 IT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장치도 마련돼 있습니다.  문제는 그것을 뛰어넘는 일부 대기업들의 편법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편법을 근절하는 것도 결국은 단시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시장환경을 고려한 시장참여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통해 가능할 것이란 생각입니다. 댓글 쓰기

키워드

#IT서비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