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차세대시스템 이야기 (1) 며칠 있으면 짧은 설 연휴(2월13일~15일)입니다. 그러나 이번 설에 국민은행 IT직원들은 고향을 찾지 못할겁니다. 설 연휴기간 ?동안 국민은행이 역사적인 차세대시스템 가동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국민은행이 차세대시스템 가동에 들어간다면 지난 10년, 주요 시중은행들의 차세대 논의도 사실상 일단락되게 됩니다.  어찌됐든 역사적(?)인 종결입니다. 현재로선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은 별 이상없이 정상적인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에는 우리 나라 금융권 차세대시스템 역사에 부끄러운 흔적들이 고스란히 투영돼 있습니다.  물론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 그러한 흔적들은 우리 금융권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과거는 미래에 투영되는 거울입니다. 지난 10년간, 국내 금융권의 차세대 이야기를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겠습니다. <편집자>  국민은행 차세대... 그러나 '부끄러운 과거' 지금 금융권에서 흔히 쓰이는 '차세대시스템(Next Generation)'이란 단어는 아마 국민은행이 처음 썼을 것입니다.  지난 1998년 IMF사태로 인한 은행권 구조조정이 본격화됩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당시 은행들의 '신시스템' 구축 사업도 모조리 중단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됩니다. 상업은행과 합병한 한일은행, 동화은행, 장기신용은행, 경기은행 등의 신시스템 프로젝트가 한꺼번에 좌초됩니다.    그후 2년여의 시간이 흐른 뒤, 은행권 구조조정에서 한발 비켜나 있었던 국민은행이 차세대시스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그리고 2002년1월 드디어 성공적인 가동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국민은행은 현재의 국민은행이 아닙니다. 예전의 국민은행입니다. 혹시 2002년 주택은행과 합병하기전의 옛 국민은행을 기억하십니까? 그 국민은행이 바로 '차세대시스템'이란 표현을 처음 썼습니다. 그러나 이 차세대시스템은 우리 나라  은행 역사상 가장 불행한 시스템이 되고 맙니다. 새로운 시스템을 가동한지 불과 몇개월만에, 주택은행과 합병한 통합 국민은행의 윤곽이 그려졌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통합 국민은행'의 주전산시스템으로 지난 옛 주택은행이 사용하던 기존 시스템을 채택하기로 결정되는 상황을 맞게 됩니다. 결국 이제 갓 가동에 들어간 국민은행의 차세대시스템은 졸지에 전원을 내려야 하는 '시한부 시스템'이 되고 맙니다.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요? 여전히 미스테리합니다. 그러나 정황은 있습니다.  합병 주도권을 쥔 은행이 IT부문에서도 권력을 행사했기 때문일까요?  만약 그렇다면 그것은 합리적 결정이었을까요? 당시 통합 국민은행장은 김정태 주택은행장이 맡았습니다. 아시다시피, 김정태 행장은 과거 DJ정부 시절 우리 나라 금융계의 황태자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일각에서는 김정태 행장이 IBM을 싫어했기때문에 한국IBM이 주도한 옛 국민은행이 구축한 차세대시스템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을 거라는 추측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를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통합 국민은행은 합병은행의 IT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형식적인 컨설팅을 받게 됩니다.  (당시 일반 현업뿐만 아니라 IT부서에서도 국민-주택은행 출신들간의 신경전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한지붕 두가족이 된 구성원들에게 '대표성'을 차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였습니다. 당시에는 그랬습니다. 업무 프로세스를 옛 주택은행 것으로 하느냐, 옛 국민은행 것으로 하느냐에 따라 양측의 노조까지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결국 컨설팅업체들이 민감한 사안에 대해 형식적으로라도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합병은행들에게서 쓸데없는 컨설팅이 많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 극도로 민감한 주제의 컨설팅을 '캡제미니언스트영'이 수행합니다. 지금 이 회사는 한국에서 철수하고 없습니다. 그리고 얼마뒤 캡제미니언스스트영은 다소 황당한 컨설팅 결과를 발표하게 됩니다. 기존 주택은행 시스템이 이제 갓 가동에 들어간 국민은행 차세대시스템을 능가한다는 결론을 내려버린 것입니다. 주택은행의 손을 들어준 것이죠. 일차적으로 캡제미니언스트영에게 비난이 쏟아졌습니다만 그러한 컨설팅 결과가 도출된 배경(?)에 대해서도 논란이 적지않았습니다.  결국 이 컨설팅은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통합 국민은행의 IT인프라로써 옛 국민은행이 구축한 차세대시스템은 결코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것입니다.  한편으로 이는 곧 통합 국민은행이 또 다른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를 구축해야 하는 명분이 됩니다.  물론 이 당시의 결정이 과연 합리적인 결정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지금도 말이 많습니다. 시중 은행중에서 가장 뒤늦게 개통하면서까지 6000억원 쏟아부을 만큼 가치가 있었는지 말이죠.  결국 국민은행은 2003년 1월, 공식 합병에 앞서 미리 차세대시스템 구축 논의에 본격 착수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앞으로 통합 국민은행이 맞이하게될 수많은 비효율적 상황, 드라마틱한 반전의 반전, 그 시작에 불과합니다.  역사는 때때로 아이러니합니다.   가장 먼저 '차세대'의 개념을 잡았던 국민은행이 어찌됐든 결과적으로 시중 은행중에서 가장 늦게 차세대시스템을 가동하게 됐기 때문이죠. 은행 합병과 IT통합, 메인프레임과 유닉스 논쟁속에서의 IBM의 역할, 의사결정 구조의 비합리성이 어우러졌던 과거, 그러나 우리는 거기에서 교훈을 발견하게 됩니다. - 계속 - <사진>국민은행 여의도 전산센터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